‘정치화 변질’ 전광훈 목사에 교계 비판 줄이어

413

전광훈 목사의 재수감을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게시 나흘 만에 30만명 이상이 동의했다.
계속되는 전광훈 목사의 엇나간 행보에 대해 교계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교계 가장 큰 단체 중 하나인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은 18일 발표한 성명에서 “전광훈 목사의 사랑제일교회는 본연의 종교활동을 넘어서 정치 집단화됐다”고 안타까워하고 “조속하게 교회의 본 모습으로 돌아오기를 바라며, 교인이나 방문자들이 코로나19의 검진에 적극적으로 응해 방역에 협조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앞서 17일 내놓은 입장문을 통해 “사랑제일교회의 감염확산이 ‘외부의 바이러스 테러’ 때문이라고 궤변을 늘어놓은 채 냉전적 광기를 발산하며 광화문 집회를 주도하는 전광훈 씨의 극단적 정치 행동에 비참함을 느낀다”면서 “전광훈 씨의 행동은 생명의 안전을 위해 희생하는 모든 사람들의 노력을 희화화 한다. 법에 의해 판단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성결교회연합회(한성연)는 성명에서 “최근의 감염 증폭 원인 제공자인 전광훈 목사의 무책임한 행태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특정 이념과 정치 집단의 도구로 전락시킨 전 씨에 대해 주요 공교단들이 분명한 조치를 내려주기를 바란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14개 개신교단의 목회자 협의회 연대체인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은 지형은 대표회장 명의로 발표한 성명에서 “현재 폭발적인 코로나19 집단 감염의 원인 제공자로 지목돼 사회적 공분을 사고 있는 전광훈 목사에 대해 보다 확실한 처분이 있어야 한다”고 각 교단에 요청했다.

이들은 “거룩한 복음을 이념에 종속시키고 교회를 정치집단으로 전락시킨 전광훈 씨에 대해 오는 9월로 예정된 주요 공교단들의 총회에서 합당한 조치를 내려 공교회적 입장을 분명히 해주시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손승호 간사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광훈 목사는 정치적인 종교탄압이라고 주장하지만, 시민의 안전과 생명의 권리를 파괴하는 행위를 연이어 하고 있다”면서 그가 담임을 맡고 있는 사랑제일교회는 “종교적 목적보다 정치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급조된 공동체의 모습이 강하다”고 위험성을 지적했다.

교계 대표적 원로지도자 중 한 사람인 박영돈 작은목자들교회 목사는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일부 한국 보수 기독교가 정치적 우상숭배에 빠져 전광훈 목사의 광란의 질주를 막지 못했다. 오히려 그를 이 시대의 사사이며 선지자라고 추켜세우기까지 했다”며 “코로나19는 하나님의 심판이기보다 인간이 자초한 재앙”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정치화 변질’ 전광훈 목사에 교계 비판 줄이어

문제는 그의 극우적 정치활동과 상식 밖 언행으로 인해 한국 교회 전체가 사회적 조롱과 지탄의 대상으로 전락했다는 점.

일부 매체에서는 “교회가 ‘공공의 적’이 되고 있는 모양새”라고 평가했으며, 전 목사에 대해서는 “개신교 목사라기보다는 극우 정치꾼으로 악명이 높다. 보수 개신교인들조차 어떻게든 관심을 끌어보려는 ‘관심 종자’로 폄훼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라는 쓴소리도 들려왔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한국 교회가 추락을 멈출 수 있기 바란다”며 합당한 처분을 요구하는 논평도 눈에 띄었다.

<국민일보>는 ‘제명된 목사 전광훈의 광란’이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교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일부 교회가 본연의 역할을 넘어 정치집단화된 결과로 분석한다”면서 “일각에서는 이번 일로 한국 교회에 사망 선고가 내려졌다는 말도 나온다”고 보도했다.

한편, 전광훈 목사는 지난해 그간 자신이 속해있던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대신 총회로부터 면직, 제명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자리도 소송에 휘말리며 직무 정지 상태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해 지난 2월 구속됐다가 보석으로 풀려났다. 지난 주말 광화문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한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서울의료원으로 이송됐다.

광복절 집회 강행 및 신도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코로나19 확진 뒤에도 마스크를 제대로 쓰지 않는 등 끊이지 않는 논란을 일으키며 사회적 공분을 샀다. 그의 재수감을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게시 나흘 만에 30만명 이상이 동의했다.